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Tags
- pwnable
- 모인해외송금
- 리눅스
- network
- 포너블
- Gentoo
- 해킹
- 해외송금
- 해커스쿨
- 유로송금
- 프랑스 교환학생
- 네트워크해킹
- Linux
- 루트미
- 보안
- rootme
- 웹해킹
- WebHacking
- 백도어
- 모인유럽송금
- FTZ
- wargame
- EPITA
- web
- client
- 프랑스교환학생
- 모인유럽서포터즈
- 프랑스송금
- Challenge
- pwnable.kr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RAND (1)
Securing Keys

쉘에 접속해보니 마찬가지로 실행파일과 소스코드가 존재했다. 소스코드를 확인해보니 rand() 함수를 통해 받은 랜덤값과, 입력값을 xor 한 결과가 0xdeadbeef일 경우, 플래그값을 출력해주는 것으로 확인된다. gdb를 통해 rand() 함수의 리턴값이 무엇인지를 확인해보고자 rand() 실행 직후 *main+18에 브레이크를 걸었다. 랜덤값은 1804289383이었고, 0xdeadbeef와 xor한 값은 3039230856이므로, 입력값으로 3039230856을 넣어주면 플래그값을 확인할 수 있겠다.
IT/Linux
2022. 4. 3. 02:5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