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 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1 | ||||||
| 2 | 3 | 4 | 5 | 6 | 7 | 8 | 
| 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
| 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
| 23 | 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
| 30 | 
- 해킹
 - 유로송금
 - Gentoo
 - 웹해킹
 - 프랑스송금
 - 루트미
 - Challenge
 - FTZ
 - 해커스쿨
 - 프랑스교환학생
 - 네트워크해킹
 - 백도어
 - WebHacking
 - web
 - 해외송금
 - network
 - rootme
 - pwnable.kr
 - wargame
 - EPITA
 - 보안
 - 리눅스
 - pwnable
 - 모인유럽서포터즈
 - client
 - 포너블
 - 모인유럽송금
 - 모인해외송금
 - 프랑스 교환학생
 - Linux
 
- Today
 
- Total
 
Securing Keys
[Linux for Security] Gentoo Linux 파티션 포맷 및 마운트 본문

Redhat, CentOS 등과 다르게 Gentoo Linux (젠투 리눅스)는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지 않는 리눅스이다
따라서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내가 직접 설정해줘야 하는 OS인 동시에
원하는대로 customizing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OS이다
저번 포스팅에서 Gentoo Linux를 VMware에 설치하고 디스크의 파티션을 나눠주었다
↓↓↓
https://secure-key.tistory.com/13
[Linux for Security] Gentoo Linux 설치 및 파티션 나누기
앞선 포스팅에 언급했듯이 Gentoo Linux는 사용자가 하나부터 열까지 모두 customizing이 가능한 OS이다 ↓↓↓ https://secure-key.tistory.com/12 [Linux for Security] Linux vs Windows OS Linux..
secure-key.tistory.com
이번 포스팅에서는 저번 포스팅에 이어 나눠준 파티션을 포맷하고 마운트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
/boot 역할을 하는 첫번째 파티션 /dev/sda1을 ext2로 포맷해주었다
mkfs.ext2 /dev/sda1

/swap 역할을 하는 두번째 파티션 /dev/sda2를 swap으로 포맷해주었다
mkswap /dev/sda2

/ 역할을 하는 세번째 파티션 /dev/sda3를 EXT의 가장 최신 버전인 ext4으로 포맷해주었다
mkfs.ext4 /dev/mapper/[mapper이름]

이제 정상적으로 포맷이 완료되었으니 마운트를 할 차례이다
내가 /mnt/gentoo에 어떠한 변화를 줄 때마다
그 변경사항이 /dev/mapper/encrypted_root에도 똑같이 적용되도록 mount 명령어를 사용하였다
mount /dev/mapper/[mapper이름] /mnt/gentoo

그리고 /dev/sda2의 swap 역할을 활성화 해주었다
swapon /dev/sda2

다음 포스팅: https://secure-key.tistory.com/22
[Linux for Security] Gentoo 파일시스템 구성 및 Chrooting
저번 포스팅에 이어 계속해서 Gentoo Linux 환경 설정을 진행하도록 하겠다 ↓↓↓ https://secure-key.tistory.com/15 [Linux for Security] Gentoo Linux 파티션 포맷 및 마운트 Redhat, CentOS 등..
secure-key.tistory.com
'IT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Linux for Security] Gentoo 커널, 부팅, 네트워크 설정 (0) | 2019.12.08 | 
|---|---|
| [Linux for Security] Gentoo 파일시스템 구성 및 Chrooting (0) | 2019.12.07 | 
| [Linux for Security] Gentoo Linux 설치 및 파티션 나누기 (0) | 2019.10.07 | 
| [Linux for Security] Linux vs Windows OS (0) | 2019.10.07 | 
| [Linux for Security] 인터넷 세상에서의 '나'라는 존재 (0) | 2019.10.06 |